족보, 항렬

전주 이씨 항렬표 - 효령대군파, 덕천군파, 의안대군파 돌림자 정리

서무의 노드롭 2025. 10. 2. 23:33
반응형

전주 이씨 항렬표 - 효령대군파, 덕천군파, 의안대군파 돌림자 정리

전주 이씨의 유래와 인구 현황

전주 이씨(全州 李氏)는 고려 말 조선을 개창한 조선 태조 이성계(李成桂)의 본관이 전주였던 데서 비롯된, 한국 역사상 가장 영향력 있는 성씨 중 하나입니다. 2024년 기준, 국내 전주 이씨는 약 200만 명으로 추산되며, 단일 성씨 중 최대 규모의 씨족군(氏族群) 중 하나로 꼽힙니다.

전주 이씨의 시조는 이한(李翰)으로, 그는 신라 말기의 사공(司空)이라는 고위 관직을 지냈다고 전해집니다. 하지만 실제로 전주 이씨가 역사 무대에 본격적으로 등장한 시점은 이성계의 4대조인 이안사(李安社)부터이며, 이때부터 고려 말~조선 초 왕권을 중심으로 한 전주 이씨 왕족 가문이 형성되었습니다.

전주이씨 종문 문양 / 앰블럼

전주 이씨 항렬표(돌림자)의 개념

항렬자’는 같은 종친 내에서 세대 간의 상하 관계를 표시하기 위해 사용하는 돌림 글자입니다. 전주 이씨는 파(派)마다 별도 항렬표를 유지하고 있으며, 대표적인 분파로는 효령대군파, 덕천군파, 의안대군파가 있습니다. 각 항렬은 보통 세대 기준으로 1자 또는 2자씩 반복되며, 족보 편찬을 위해 매우 중요한 기능을 합니다.

전주 이씨 항렬표


전주 이씨 효령대군파 항렬표

전주 이씨 중에서도 후손이 가장 많은 효령대군파(孝寧大君派)는 태종 이방원의 둘째 아들인 효령대군 이보(李補)를 파조로 합니다. 문·무관 출신이 다양하게 분포하며, 다음과 같은 항렬자를 사용합니다.

세대 항렬자
36세 동(東)
37세 용(容), 우(遇), 시(始)
38세 규(奎), 범(凡), 의(義), 식(植)
39세 선(善), 회(會), 연(淵), 재(在)
40세 승(承), 우(宇), 인(寅), 규(圭)
41세 수(秀), 의(儀), 하(夏), 은(殷)
42세 병(丙), 기(起), 범(範), 연(淵)
43세 기(基), 강(康), 종(鍾), 섭(燮)
44세 종(鍾), 재(宰), 규(揆), 훈(勳)
45세 한(漢), 수(秀), 정(廷), 표(杓)

전주 이씨 덕천군파 항렬표

덕천군파(德泉君派)는 정종의 아들인 덕천군 이후생(李厚生)을 파조로 하며, 대표적인 문관 가문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안천대군파(安川大君派) 계열로도 분류되며, 아래는 항렬표입니다.

세대 항렬자
19세 어(於), 선(仙)
20세 광(光), 수(守)
21세 정(貞), 수(守)
22세 양(陽), 생(生)
23세 승(昇), 우(祐)
24세 춘(春), 동(同)
25세 석(碩), 강(剛)
26세 덕(德), 룡(龍)
27세 춘(春), 무(茂)
28세 인(仁), 걸(傑)
29세 안(安), 민(敏)
30세 운(雲), 학(鶴)
31세 천(天), 웅(雄)
32세 진(進), 형(衡)
33세 찬(贊), 세(世)
34세 종(宗), 빈(彬)
35세 대(大), 욱(郁)
36세 복(福), 만(晩)
37세 석(錫)
38세 순(淳)

전주 이씨 의안대군파 항렬표

의안대군파(義安大君派)는 태조 이성계의 서형인 의안대군 이화(李和)를 파조로 하는 가문입니다. 전주 이씨 중 비교적 조기부터 분화된 파 중 하나로 다음과 같은 항렬을 사용합니다.

세대 항렬자
19세 정(精)
20세 환(環)
21세 철(哲)
22세 항(恒)
23세 발(發)
24세 기(奇)
25세 손(孫)
26세 기(杞)
27세 춘(春)
28세 녹(祿)
29세 인(仁)
30세 문(文)
31세 백(白)
32세 재(材)
33세 윤(胤)
34세 윤(允)
35세~36세 생략
37세~38세 근(根)
39세 환(煥)
40세 흠(欽)
41세 하(河)
42세 동(東)

전주 이씨 족보와 분파 체계

전주 이씨의 분파는 122개 이상으로 분화되어 있습니다. 조선의 왕자(대군, 군)의 자손들을 중심으로 세분화된 것이 특징입니다.

  • 고조부 안사(安社) 이전: 문하시중공파, 평장사공파 등
  • 안사~태조 이전 분파: 안천·안원·안풍·안흥·안창 5대군파, 함령·함창 등 7대군파
  • 태조 이후 분파: 태종, 세종, 정종, 선조 등 왕자들을 파조로 하는 군파들

대표적인 파와 특징은 다음과 같습니다.

  • 밀성군파: 세종의 아들 이침을 파조로 하며 정승 6명, 대제학 3명 배출
  • 덕천군파: 정종의 아들 이후생, 영의정 및 대제학 가문
  • 광평대군파: 세종의 다섯째 아들, 정승 다수 배출
  • 효령대군파: 태종의 아들, 문·무관 다수 배출
  • 무림군파, 덕흥대원군파: 무관 계열 강세


전주 이씨의 현대적 의미

전주 이씨는 단순히 왕족의 후예라는 상징을 넘어서, 한국 역사 전반에 걸쳐 정치·문화·학문적 유산을 남긴 씨족입니다. 특히 조선 시대 상신 22명, 대제학 7명, 문과 급제자 873명을 배출한 바 있으며, 문·무 양반 사회를 형성하는 핵심 기반이었습니다.

현재도 대동종약원은 족보 편찬, 항렬 유지, 유림 행사 주관 등의 활동을 통해 종중의 결속과 정통성 유지를 이어가고 있습니다.


결론

전주 이씨는 대한민국 역사상 가장 상징적인 성씨 중 하나로, 조선 왕조의 정통성을 대표하는 가문이자 오늘날까지도 종친 간 항렬자 유지, 족보 체계의 지속을 통해 그 맥을 이어가고 있습니다. 효령대군파, 덕천군파, 의안대군파 등 대표적 분파별 항렬표를 통해 가계 흐름을 이해하고 조상과의 연결고리를 되새겨보는 일은, 오늘날에도 자신의 뿌리를 아는 중요한 전통문화의 일환이라 할 수 있습니다.


반응형